공동이용 시설
사업 목적 및 추진 방향
- 부산어묵전략식품사업단 자회사의 모체가 될 공동이용시설은 회원사에게 질 높은 어묵생산의 원료를 공급하기 위한 생육처리 공장 형태로 구성되어져있습니다.
- 생육처리 라인의 규모에 따라 최소 500평 규모의 이며 부산어묵 가공기업에서 필요한 원료 공급소 기능으로 어묵 원료인 어육살을 고품질 생선으로부터 분리, 가공 및 공급합니다.
- - 안정적 원료 공급을 위한 원료 공동 구매 및 가공에 의한 수익 창출
- - 본 사업으로 구축될 물류, 유통 및 배송 on-line 공동 시스템을 이용한 원료 공동 구매
- - 공동 구매한 원료의 안전성 조사 및 원료 품질 관리
- 공동생육처리시설은 부산어묵의 고급화를 위한 필수 단계로, 위생적인 원료의 공급과 이에 대한 홍보 마케팅을 통해 생육 공급 수익 외의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- 또한, 어가, 조합 등에게 안정적인 공급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어가의 고정적 수익창출과 어가와 어묵기업의 상생 및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

연차별 추진전략
2014년
- 부지 확보
- - 장기 임대가 가능한 시설 검토
- - 장림 단지 내 적정부지 매입에 대한 검토
* 회원기업의 투자 여부 및 지자체와의 검토를 통해 판단
2015년
- 시설공사 및 장비 구축
- - 확보 된 부지 또는 시설에 추가 공사 및 생육라인 구축(2개 라인)
- - 주요 설비(채육기, 콘텍트 프리저, 냉동 냉장고, 작업대, 금속검출기, X-ray/방사능검출기, 운반차량, 지게차, 기타 생산 비품)
- 자회사 설립에 따른 인력 채용
- 지역내외 기업 홍보
2016년
- 어류 수급 및 생육공급 관련 매뉴얼 수립
- - 어가에 대한 원재료 공급 및 참여기업, 외부기업 등에 대한 생육공급 매뉴얼 수립
- 참여기업 우대 사항 및 의무 사용 한도 등에 대한 매뉴얼 수립
- - 어가에 대한 원재료 공급 및 참여기업, 외부기업 등에 대한 생육공급 매뉴얼 수립
- 매출 및 업무량의 확대에 따른 추가 인원 채용
- 부산어묵의 위생적 이미지, 고급화 이미지 확충을 위한 홍보 전략 구축
2017년
- 부산의 질 좋은 연육 공급 홍보 및 마케팅으로 거래처 추가 발굴
- 부산어묵의 위생적 이미지, 고급화 이미지 확충을 위한 홍보 전략 구축
2018년
- 수익 확대를 위한 해외 연육 공동구매 및 공급 시스템 확립
- -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수입산 연육에 대한 공급기지 역할 정립
- 부산시 ODA 사업의 추진 경과에 따라 미얀마 기지와의 협조
- -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수입산 연육에 대한 공급기지 역할 정립
- 부산어묵의 위생적 이미지, 고급화 이미지 확충을 위한 홍보 전략 구축
2019년
- 부산의 질 좋은 생육 공급 홍보 및 마케팅으로 거래처 추가 발굴
- 수익 확대를 위한 해외 연육 공동구매 및 공급 시스템 활성화
- - 국내 반입되고 있는 수입산 연육에 대한 공급기지 역할 확대
- 부산시 ODA 사업의 추진 경과에 따라 미얀마 기지와의 협조
- - 국내 반입되고 있는 수입산 연육에 대한 공급기지 역할 확대
- 매출 및 업무량의 확대에 따른 추가 인원 채용
- 추가라인 설치
공동이용시설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