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&D 지원
사업 목적 및 추진 방향
- 부산어묵의 고급화 및 기능화 전략을 통해 어묵이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자리매김, 어묵의 식품영양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묵시장의 확대에 기여
-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제품의 안전성, 신뢰성 및 고급화로 부산어묵의 이미지 및 인지도 제고
- 어묵의 저장성과 포장,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마케팅에 대한 강점 부여
- 어묵제조용 원료 외육(外肉)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 개발
- - 고품질의 기능성 물질 소재 개발, 기능성 물질 첨가를 통한 식감이 증진된 어묵 개발
- - 고품질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고부가가치화된 어묵 개발
- 부산어묵의 대중화 및 고급화를 위한 다양한 웰빙제품 개발
- - 계층별 타겟제품 개발(청소년 층, 젊은 층, 중년 층, 고령 층, 환자 등)
- - 어묵의 다양성 부여 : 어묵과자, 다이어트, 숙취해소용 어묵, 누들, 어묵첨가제 등
-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국(Global) 맞춤형 제품 개발
- - 수출국 맞춤형 제품 개발, 어묵의 저장성 연장기술 개발

연차별 추진전략
2014년
- 어묵 R&D를 위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 실시
- - 소비자의 어묵에 대한, 맛, 향취, 첨가물, 고급화의 형태 등 어묵 R&D를 위한 시장 지향적 근거자료 조사
- - 어묵 기업 및 관련자와의 논의를 통한 R&D 주제 선정
- 어묵 R&D 과제에 대한 RFP 작성과 용역의 형태, 용역수행 기관의 자격 등에 대한 체계 정립
- 어묵 고급화 R&D 사업 시행을 위한 전문가 회의
- - 사업의 실효성, 사업 성공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
- 사업추진 방식, 공고방식, 사업평가방식에 대한 논의
- - 사업의 실효성, 사업 성공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
2015년
- 어묵 원료개발 R&D 1차년도 사업 시행
- - 국내 원료 활성화 기술 개발
- - 국내원료 저장을 위한 선공정 기술 개발
- - 양식 어종, 다획성 어종 등을 활용한 어육 단백질 개발
- 기능성 어묵개발 R&D 1차년도 사업 시행
- 어묵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항균항산화 소재 발굴 및 포장기술 개발 R&D 1차년도 사업 시행
- 어묵 형태별 포장 자동화 공정기술 개발
- 어묵 공정라인 세정 방법 및 소재 개발
2016년
- 어묵 원료개발 R&D 2차년도 사업 시행
- - 국내 원료 활성화 기술 개발
- - 국내원료 저장을 위한 선공정 기술 개발
- - 양식 어종, 다획성 어종 등을 활용한 어육 단백질 개발
- 기능성 어묵개발 R&D 2차년도 사업 시행
- 어묵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항균항산화 소재 발굴 및 포장기술 개발 R&D 2차년도 사업 시행
2017년 이후
- 어묵 원료개발 R&D 사업 완료
- 기능성 어묵개발 R&D 사업 완료
- 어묵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항균항산화 소재 발굴 및 포장기술 개발 사업 완료
- 중앙정부 연구개발 사업 참여
- - 해외 타겟국 맞춤형 어묵개발 R&D 사업 수행
- 기타 필요 R&D 사업 기획 및 수행
- - 해외 타겟국 맞춤형 어묵개발 R&D 사업 수행